임플란트 뼈이식 통증, 부작용, 기간 정리

임플란트는 잇몸뼈를 기반으로 임플란트 뿌리와 보철물을 끼웁니다. 따라서 잇몸뼈가 강하게 임플란트 뿌리를 지지해주는 것이 중요한데요. 임플란트 수술 환자 중에는 만성질환으로 잇몸뼈가 약하거나 발치로 인해 잇몸뼈가 부족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잇몸뼈를 보완하기 위해 임플란트 뼈이식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뼈이식 자체의 통증 및 부작용을 걱정하는 분들도 많죠.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임플란트 뼈이식 통증, 부작용 그리고 기간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임플란트 뼈이식

임플란트 뼈이식 통증

임플란트 뼈이식 절차는 잇몸을 절개한 후 그 안에 있는 염증을 제거하고, 뼈이식재를 투입하는 과정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잇몸을 봉합한 후 약 3~6개월 후에 뼈가 완전히 굳었을 때 임플란트 식립을 진행하게 되는데요. 뼈이식은 마취를 하고 진행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통증이 없지만, 간혹 뼈이식 도중 또는 뼈이식을 마치고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임플란트 뼈이식 통증 원인

임플란트 뼈이식 통증을 느끼는 첫 번째 원인은 잇몸 안에 뼈이식재를 채워 넣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 때문입니다. 마취를 했기 때문에 대부분 환자들이 압력에 대한 통증을 못 느끼지만 마취가 덜 되어 있거나 신경이 예민한 경우에는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원인으로는 잇몸 내 심한 염증입니다. 잇몸 내부에 염증이 심한 경우 통증이 더 쉽게 전달되며 마취도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세 번째 원인으로 심리적인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수술 과정 자체를 두려워하거나 심리적으로 예민하게 반응하는 환자의 경우 뼈이식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뼈이식 과정에서 거부 반응이 있는 경우입니다. 사실 이 경우도 흔치는 않지만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뼈이식 통증 부작용

임플란트 뼈이식 부작용

임플란트 뼈이식 시술 중 또는 뼈이식 후에 계속 통증이 이어지거나 거부 반응으로 정상적으로 뼈가 자리잡지 못하는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뼈이식을 하면 2~3일 정도는 통증이 지속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가끔 이를 부작용으로 오인하기도 하는데요. 마취가 풀리고 나타나는 통증은 부작용이라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다만, 통증이 너무 심하고 오래가거나 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면 병원에 내방하여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임플란트 과정에서 임플란트 뼈이식 붓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역시 부작용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는데요. 정상적인 경우에는 2~3일 정도 후 또는 늦어도 1주일 내에 붓기가 빠집니다. 붓기가 오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냉찜질과 온찜질과 번갈아가면서 해주면 좋습니다.

임플란트 뼈이식 부작용 예방

임플란트 뼈이식 후에는 빠른 회복을 위해 음주, 흡연은 절대적으로 금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음주를 하게 되면 임플란트 뼈이식 후 붓기가 더 심해지고 절개한 부위가 아무는 것을 지연시킵니다. 흡연 역시 마찬가지이며 심하면 상처 부위에 염증을 촉진시킬 수도 있으니 삼가하시길 바랍니다.

아울러 임플란트 뼈이식 후에는 과격한 운동도 삼가해야합니다. 그리고 혀나 손으로 직접 수술 부위나 뼈이식 부위를 만지거나 세게 누르지 않아야 합니다.

임플란트 뼈이식 기간

임플란트 뼈이식을 하면 통상적으로 최소 3개월 이상의 기간이 필요합니다. 뼈가 굳는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인데요. 다만, 임플란트 뼈이식 기간은 개인별로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6개월에서 12개월 정도 충분한 기간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잇몸뼈가 제대로 형성되어야 임플란트 치아를 오래 쓸 수 있기 때문이죠.

정리

이상 임플란트 뼈이식 통증 원인과 함께 부작용 및 기간 등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임플란트 뼈이식은 잇몸뼈가 부족한 환자의 경우 임플란트 수술의 성패를 좌우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심한 통증이나 부작용이 생기지 않도록 잘 관리해야하며, 뼈이식 기간을 충분히 두어 잇몸뼈가 제대로 자리잡도록 해야합니다.

참고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