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염은 콧물, 재채기, 코막힘 등을 유발한다. 목숨이 왔다갔다할 정도로 건강 상에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일상 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비염으로 고통스러워 하는 사람들이 많다. 우리나라 비염 환자는 인구의 10~20% 정도로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비염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염 증상
비염증상 중 가장 큰 부분은 콧물과 코막힘이다. 수시로 흐르는 콧물과 숨쉬기에 방해가 되는 코막힘이 수반된다. 이로 인해 일상 생활 중 집중력이 흐려지고 쉴세 없이 흐르는 콧물로 사회 생활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다.
비염은 그 종류에 따라 가려움증이나 재채기를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심하면 코 뿐 만 아니라 눈, 입 부분까지 가렵게 되고 두통을 유발하기도 한다.
비염 원인
비염원인에 대해 알아보려면 우선 비염 종류에 대해 살펴봐야 한다. 비염은 크게 알레르기성 비염, 혈관운동성 비염, 그리고 만성 비후성 비염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밖에 한랜성 비염, 미각성 비염, 약물성 비염 등이 있지만 흔하지는 않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진드기, 동물의 털, 곰팡이, 꽃가루 등에 의해 발생한다. 알레르기 유발 요인이 코 속 점막을 자극해 콧물이 과도하게 분비되게 하고, 이로 인해 코 점막이 부어 오르며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콧물은 맑은 콧물이 나오며 재채기와 가려움을 동반한다.
혈관운동성 비염은 술을 마시거나 담배, 향수, 뜨겁거나 매운 음식,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 등에 따라 코 속의 신경세포가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는 경우 발생한다. 비염에 걸리지 않더라도 이런 변화는 일반적으로 발생하지만, 비염 환자의 경우 유독 민감하게 반응한다. 다만, 알레르기성 비염과 다르게 재채기나 가려움을 동반하진 않는다.
만성비후성 비염은 만성적으로 코 점막이 부어있고 그 부위에 염증이 생긴 상태인 경우를 말한다. 코 안에는 양 쪽 콧구멍을 나누는 삐중격이라는 뼈가 있는데 이 뼈가 휘어져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코가 휘어진 증상을 비중격만곡증이라고 하는데 한쪽 코에서 코막힘과 콧물이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코가 목으로 넘어가는 후비루가 발생하기도 한다.
비염 치료 방법
비염치료 방법은 비염 종류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본인이 비염을 앓고 있다면 어떤 종류의 비염인지 진단을 받아야 한다.
알레르기성 비염치료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차단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진드기가 많은 환경에 살고 있다면 평소 집안 청결 상태를 유지해야하며 환기를 자주 해주어야 한다. 특히 이불, 베개, 침대 시트, 소파, 카페트, 인형 등을 자주 세탁하여 진드기를 없애 주어야 한다.
청소를 할 때는 공기 중 진드기나 곰팡이를 제거할 수 있는 헤파 필터가 달린 청소기를 사용하거나 바닥 등에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물걸레질을 충분히 해주어야 한다.
꽃가루가 원인물질이라면 꽃가루가 많은 시기에 외출 시 항상 마스크를 써주어야 한다.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차단하는 노력과 함께 면역요법이나 약물요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면역 요법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에 대해 소량을 아주 조금씩 노출하여 항체가 생기도록 하는 요법이다. 약물요법은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제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수술적인 치료방법이 있는데 코 점막을 고주파 레이저로 태우는 수술로 코 점막세포가 알레르기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수술이다.
혈관운동성 비염치료는 혈관이 확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방법이다. 식전에 혈관 확장을 억제하는 항콜린제를 사용하면 혈관운동성 비염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약물 요법으로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제를 이용하기도 한다.
만성비후성 비염치료는 약물 요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그래도 비염치료가 되지 않으면 수술적인 요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하비갑개를 절재하는 수술로 평소 부풀어 올라 있는 하비갑개 일부를 절제하여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이다.
또한 만성비후성 비염 환자의 경우 평소 점막이 부풀어 올라있고 염증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생리식염수로 매일 코를 세척해주는 것이 좋다. 생리식염수를 일회용 주사기에 넣고 한 쪽 코에 넣고 다른 쪽 코로 빼내는 방식이다. 이런 코 세척을 통해 코 점막의 수분을 유지해주면 부풀어 오르는 정도를 완화할 수 있다.
비염에 좋은 음식
알레르기성 비염의 경우 주로 면역력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면역력을 키워줄 수 있는 음식이 좋다. 면역력을 키워줄 수 있는 음식은 비타민D가 풍부한 음식들로 버섯, 우유, 말린 생선, 말린 채소, 말린 과일 등이 있다.
그리고 항산화 성분이 많은 음식도 면역력에 도움이 된다. 항산화 성분이 많은 음식으로는 브로콜리, 토마토, 블루베리, 아로니아, 당근, 양파, 마늘, 제철 채소와 과일 등이 있다.
이 밖에 진피, 하수오, 캐모마일, 당귀, 상황버섯도 비염에 좋은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상황버섯은 면역력 증가에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어 하루에 1리터 정도 물대신 마셔주면 효과가 좋다.
비염에 좋은 차
평소 비염을 앓고 있다면 커피 대신에 이를 달래줄 수 있는 차를 마셔주는 것 좋다. 비염에 좋은 차로는 녹차, 산수유차, 감초차, 치자차, 생강차 등이 있다.
녹차
녹차는 체내 중금속을 제거해주는 효능이 있어 체내에 있는 알러지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준다.
산수유차
산수유차에는 다량의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D 또한 풍부하다. 따라서 면역력 증진에 효능이 좋다.
감초차
감초차는 코와 입의 생리 안정에 도움이 된다.
치자차
치자차의 효능은 소염, 살균작용이다. 따라서 코 점막 염증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생강차
생강 역시 살균 작용을 하는 성분이 있으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다.
비염 치료기
필자도 사회 생활 초반에 항상 비염을 달고 살았다. 코가 약간 휘어진 비중격만곡증이 살짝 있었는데 그와 더불어 알레르기성 비염도 있었던 것 같다. 비염 치료를 위해 한의원과 병원을 자주 방문했는데 한의원에서는 면역을 높이는 한약재를 처방 받았고, 병원에서는 약물 치료를 통해 비염을 완화시켰다.
한 때 병원에서 비염 수술을 권하기도 했는데 비염 수술을 받더라도 재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에 선뜻 수술을 받지는 못했다. 그렇게 고민을 거듭하다가 수술을 진행했다. 수술은 전신 마취를 하지는 않았지만 약 1주일 정도는 고생했던 것 같다. 의사쌤의 말로는 수술 직 후 바로 정상 생활이 가능하다고 했는데 한 이틀 정도 휴가 내고 휴식을 취한게 다행이었던 것 같다.
이 후 식염수 세척도 자주 해주고 한약도 꾸준히 먹고 집안 청결도 신경 쓴 탓인지 이제는 콧물이 미친 듯이 나거나 재채기가 심하게 나지는 않는 것 같다. 다만, 비염은 완치가 어려운 증상이라 이 후에도 재발할 수 있다고 하는데 아직까지는 잘 버티고 있는 것 같다.